티스토리 뷰


대부분의 답사안내서 혹은 여행안내서가 지역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구성은 답사자 혹은 여행자들이 지역을 중심으로 계획을 짠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지역별로 구성된 책은 건물 하나, 마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줄 수는 있으나 비슷한 유형의 다른 건물들, 다른 마을과 차이점 등과 같은 좀더 포괄적인 지식을 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건축답사수첩』은 건축 유형별 구성을 통해 한국건축의 전반을 익힐 수 있도록 한 책이다. 각 유형별 특징을 먼저 소개하고 개별 건물에 대한 정보를 주고 있어서 그 유형 전반을 알 수 있게 되고 같은 유형의 다른 건물과 차이를 볼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한발 더 나아가 건물을 보는 자신만의 눈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안동 김씨 종택을 답사할 경우, 답사현장에 있는 안내판의 기본 정보들 즉 언제 누가 지었으며 어떤 배치를 가졌는지 따위의 내용은 물론 어떤 이유에서 이런 구성을 가지게 되었는지, 다른 지역의 살림집과는 어떻게 다른지, 어떤 점을 눈여겨보아야 할지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교적 가볍고 휴대하기 편리한 사이즈의 책으로 풍부한 사진과 자세한 설명들도 읽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뒷부분 자료편 에서는 문화재의 개념과 종류 등에 대해서도 알려주고 있어 실제 답사 여행을 다닐 때에도 도움이 될 수 있게 하고 있다.국민소득 3만불 시대. 우리 문화재 소중한지 모른채 다 파괴하고 지내온 세월이 피눈물 날 지경인 오늘이다. 그나마 남아 있는 한국전통 건축의 현장은 이제 눈물없이는 볼 수 없는 드라마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더 아끼고 더 보듬어야 하는 것이 건축문화재다. 그 속에서 조상 대대로 이어온 우리 고유의 미의식은 물론 건축사상에 이르기까지 교훈으로 삼아야 할 가치와 의미를 찾아 우리 시대의 재료와 기술과 언어로 그 뜻을 재해석하여 계승해야만 한다. 껍데기만 전통건축을 따라가지 않으려면 그 깊은 속내를 뿌리깊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려면 답사로 떠나는 길은 뻔질날수록 바람직한 것이 아니겠는가. 옛건축물을 뵈러 갈때마다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는 기쁨 속에 답사를 멈출줄 모르는 정도가 되어야 그로부터 한 수 가르침을 어렵게나마 청할 수 있는 법이다. 동녘에서 나온 한국건축답사수첩은 10년이 지난 도서지만 내가 늘 끼고 다니는 애장서다. 손에 잡힐만한 크기로 편집된 책이어서 쉽게 페이지를 젖혀근처 어디든 가다가 불쑥 옛 건축물로 향할 수 있으니 얼마나 요긴한가. 참으로 고마운 책이다.
대부분의 답사안내서 혹은 여행안내서가 지역별로 구성되어 있다. 이런 구성은 답사자 혹은 여행자들이 지역을 중심으로 계획을 짠다는 점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지역별로 구성된 책은 건물 하나, 마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줄 수는 있으나 비슷한 유형의 다른 건물들, 다른 마을과 차이점 등과 같은 좀더 포괄적인 지식을 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건축답사수첩 은 건축 유형별 구성을 통해 한국건축의 전반을 익힐 수 있도록 한 책이다. 각 유형별 특징을 먼저 소개하고 개별 건물에 대한 정보를 주고 있어서 그 유형 전반을 알 수 있게 되고 같은 유형의 다른 건물과 차이를 볼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한발 더 나아가 건물을 보는 자신만의 눈을 가질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안동 김씨 종택을 답사할 경우, 답사현장에 있는 안내판의 기본 정보들 즉 언제 누가 지었으며 어떤 배치를 가졌는지 따위의 내용은 물론 어떤 이유에서 이런 구성을 가지게 되었는지, 다른 지역의 살림집과는 어떻게 다른지, 어떤 점을 눈여겨보아야 할지 알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교적 가볍고 휴대하기 편리한 사이즈의 책으로 풍부한 사진과 자세한 설명들도 읽기 쉽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뒷부분 자료편 에서는 문화재의 개념과 종류 등에 대해서도 알려주고 있어 실제 답사 여행을 다닐 때에도 도움이 될 수 있게 하고 있다.


【제1장】 한국건축 역사 개요
김동욱(경기대 교수).여상진(선문대 교수)

【제2장】 구조와 시공
김왕직(명지대 교수).이왕기(목포대 교수).김나래(소르본느대학)
김석순(민가건축사사무소 대표).정연상(성균관대).박준주(단청장)

【제3장】 궁궐과 관아
이강근(경주대 교수), 조재모(경북대 교수)

【제4장】 마을과 읍성
전봉희(서울대 교수).이경아(한경대 강사).한삼건(울산대 교수)

【제5장】 살림집
이호열(부산대 교수)

【제6장】 유교건축
홍승재(원광대 교수).조은경(국립문화재연구소)

【제7장】 불교건축
김경표(충북대 교수).김덕문(국립문화재연구소).류근주(극동정보대학 교수).김형래(충북대)

【제8장】 원림과 누정
전봉희(서울대 교수).이강민(아주대 강사)

【제9장】 자료편
우동선(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이우종(한국예술종합학교 강사).양윤식(한얼문화연구재단)